본문 바로가기
나만의 이야기/내가 요즘 읽는 책

하얼빈 - 영화 영웅 보기 전/후

by Naro2022 2023. 1. 7.
반응형

한국사를 너무 좋아하기에
서점에서 잠깐 훑어보고 바로 구입했다.

처음 하얼빈을 접했을땐 '어렵다'였다.
글을 자주 읽으려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내겐 한자가 많은 책은 어렵다.

그래도 꾸준히 읽어보려했지만 집중이 되지않고 다른 책에 더 눈이 가 결국 책장에 꽂혀있게 되었다.
그랬던 내가 다시 꺼내게 된 이유는
영화 '영웅'을 보고 나서였다.

동생집에 놀러갔다가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기대이상으로 감동받았던 영화였다.

처음엔 큰 기대가 없었다.
'그냥 영화 보러가나보다' 이정도였다.
갑자기 보게 된 것도 있고 상영시간이 거의 다 된 상황이었다.
팝콘사느라 정신이 없어 영웅에 대해 어떠한 정보도 알지 못한 채 가게 되었다.
(이 팝콘은 오열하느라 10%도 못먹었다..)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안중근 의사' 이야기라는 것
이 정도만 알고 들어갔었다.
그래서 뮤지컬 영화인지도 몰라서 갑자기 노래가 나오길래 정말 당황했었다.
그 뒤로 나오는 여럿 장면들에 깊은 감명을 받았고 끝부분 나문희 배우님이 연기하는 장면에서는 그냥 날 내려놓고 오열했다.

김고은 배우님 아름다운 청아한 목소리가 정말 좋았다.
노래 잘하시는지 몰랐는데 애절한 연기+ 청아한 목소리 완벽한 조합이었다.
그리고 역시나 10년 이상의 베테랑인 정성화 배우님의 완벽한 연기 덕분에 처음부터 끝까지 몰입해서 볼 수 있었다.



이 날 영화 다보고 나오면서 흥분을 감추지 못할 정도로 감동을 받았고 거의 일주일 내내 이 영화 이야기만 한 것 같다.
그리고 요즘 책 읽을 땐 영웅 ost 모음집 틀어놓고 보고 있다.

영화관만 가까웠다면 다시 가서 보고 싶을 정도로 마음에 들었고 오랫동안 기억속에 마음속에 남아있을 내 인생 영화가 되었다.

그래서 결국 하얼빈을 다시 꺼내게 되었다.

그리고 다시 본 책은 이전과 확연히 달랐다.
영화를 보고 와서인지
책 읽는 부분마다 장면이 그려졌고 그 속으로 빨려들어가는 기분이었다.

초반만 참고 읽으면 뒤로 갈수록 푹 빠져들것이라는 리뷰를 본 적 있는데 그말이 딱맞았다.
뒤로 갈수록 계속해서 빠져들었다.
모든 장면들이 눈앞에 펼쳐졌다.

'이토히로부미','안중근 의사' 둘의 시각을 번갈아 가면서 스토리가 진행되는데 그래서인지 더 폭넓게 볼 수 있어서 재밌었다.
이토 장면이 나올 때는 어떠한 이유에서든 분노가 치밀었고 감정을 진정시키기 어려울 정도로 화가났다.
누구를 위한척, 국가를 위한척, 우리를 위한척
고귀한척 모든 그의 '척'들이 날 분노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안중근 의사'의 시각으로 본 모든 것들은
아팠고 슬펐고 쓰라렸다.
포로를 놓아주는 장면은 다시 봐도 이해가 안되고 왜 그런 어리석은 선택을 했을까 싶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시간들은 허기지고 외롭고 괴로움으로 가득차 있었다.
이토와 안중근 의사의 상황이 극명하게 대비되서 더 더욱 속상하고 마음이 아팠다.

영화와 다른점이라면 책 속의 안중근 의사는 많이 쓸쓸해보였고 외로워보였고 슬퍼보였다.
영화에서는 따뜻한 장면도 여럿 나오고 웃는 장면도 색감도 따스한편이다.
하지만 책 속의 모든 장면은 회색이었다.

담담해보였지만 그 속은 얼마나 무너졌을지.
상상조차 안되는 그 고통이 느껴지는것 같아 뒤로 갈수록 괴로웠다.


영화와 책을 보면서 느꼈던 공통적인 깨달음은 '잊지말자'였다.

이 날에 있었던 모든 사람들을.
싸우기위해 목숨을 걸고 나아갔던 분들을.
기억되지 않아도 드러나지 않아도 싸웠던 그 분들을.
이분들이 지킨 이 국가를.

절대 '잊지말자' 다짐했다.

100년후를 보자고 했던 사람들.
그 사람들 말대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그날'이 오길 그저 기다리고 있었다면,
우린 책이 아닌 '현실'속에서 직접 보고 느끼며 경험하고 있었을 것이다.

만약 그랬다면 오히려 너무 익숙해져서
우리나라가 있었는지 조차 잊어버렸을지 모른다.
하지만 이 분들은 끝까지 지켰고 싸워주셨다.
그랬기에 오늘날 '우리나라 대한민국'이라 당당하게 말할 수 있다.

이는 절대 쉽게 얻어진것이 아니기에
잊지않고 우리나라를 더 알리고 힘을 키울 수 있도록 노력해야함을 다시한번 깨닫게 되었다.

인생을 바쳐 지켜주신 '이 나라'를 '우리 것'을.
또 다시 빼앗기지 않도록 배우고 알리며 지켜야겠다.

반응형